[행사] '케이팝데몬헌터스'를 둘러싼 담론과 쟁점 ... 2025년 동국한류콜로키움
“케데헌은 한류의 뉴 에포크”…동국대 가을 콜로키엄 개최 “케데헌, 한류의 뉴 에포크 열었다…동국대서 미래 전략 모색” “한류, 국적 넘어 ‘K의 방식’으로…체험 인프라·글로벌 전략 시급” |
[보도자료|2025년 9월 18일]
○“한국 밖에서 만든 K-콘텐츠도 한류인가…콜로키엄서 답 찾는다”
○“케데헌, 오징어게임 넘어선 넷플릭스 신기록…한류 담론 뒤흔들다”
[문화] “케데헌은 한류의 뉴 에포크”…동국대 가을 콜로키움 개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공개 석 달 만에 넷플릭스 최다 조회 기록을 갈아치우면서, 한류 담론의 지형이 바뀌고 있다. 학계는 이번 현상을 “단순한 흥행작이 아니라 한류 패러다임 전환을 알리는 신호”로 본다.
정길화 동국대 한류융합원장은 “케데헌은 디아스포라적 경험이 글로벌 콘텐츠 제작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재조명하게 했다”며 “한류는 더 이상 국가 브랜드가 아니라, 글로벌 한인 공동체와 함께 만들어가는 트랜스내셔널 문화임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케데헌은 한류 담론을 새롭게 설계하라는 요청이자 질문”이라며 “우리는 ‘케데헌 이전’과 ‘케데헌 이후’라는 새로운 시간 구분 속에서 한류의 지속 가능성과 창의성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논의하기 위해 동국대 한류융합학술원은 9월 18일 오후 ‘케데헌 이후의 한류’를 주제로 가을 콜로키엄을 개최한다. 행사는 동국대 혜화관 3층에서 오후 1시에 시작되며, 정길화 원장이 축사를 맡고 정호재 연구원이 사회를 본다.
첫 발제는 조영신 동국대 교수가 맡아 ‘한국은 융합콘텐츠의 핵심 애니메이션 산업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발표한다. 그는 케데헌이 보여준 융합형 콘텐츠의 구조를 분석하고, 단일 장르 중심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며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제안한다.
최원재 동국대 외래교수는 ‘한류는 보통명사여야 한다’를 주제로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성이 혼종적 기호로 소비되는 현상을 짚고, 문화 번역자·중개자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어 채지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 밖에서 제작된 K-콘텐츠의 가치와 활용 방안’을 발표한다. 그는 스타·작품 중심 한류의 한계를 넘어 플랫폼·교육·투자·공공 인프라 강화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지막 발제에서는 김광혁 애프터컬쳐 대표가 ‘팬덤 경제를 어떻게 지속가능하게 만들 것인가’를 주제로 팬덤을 산업 파트너로 재해석하고 글로벌 팬덤 제도화 필요성을 제시한다.
콜로키엄은 라운드테이블 종합 토론으로 마무리된다. 발제자들은 케데헌을 계기로 드러난 ‘한류 공진화’ 흐름을 전제로 제작 네트워크의 국제 분업 구조, 언어 비율을 넘어선 장르 인식, 권리 배분, 팬덤의 공동 제작자 역할 등을 심층 논의한다.
학술원 측은 “케데헌은 한류가 국적의 경계를 넘어 ‘K의 방식’으로 인식되는 변화를 보여줬다”며 “수출 중심 지원을 넘어 체험 인프라와 공정한 제작 생태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끝)